|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 Algorithm
- c++
- python
- 재귀
- Tutorial
- Class
- Programming
- 문제풀이
- 시작해요 언리얼 2022
- loop
- w3school
- UE5
- C#
- 파이썬
- 백준
- dynamic
- W3Schools
- 프로그래밍
- DP
- guide
- String
- 오류
- 기초
- dfs
- Basic
- github
- Unreal Engine 5
- parameter
- Material
- Unity
- Today
- Total
목록Unity/Unity - Solutions (24)
행복한 개구리
Exception: Failed running C:\Program Files\Unity\Hub\Editor\2020.3.13f1\Editor\Data\il2cpp/build/BeeSettings/offline/bee.exe --useprebuiltbuildprogram --no-colors 빌드를 하니까 이런식의 에러가 났다. 원인을 찾다보니 프로젝트명에 한글이 섞여있어서 발생하는 문제로 보였다. 그래서 프로젝트명을 모두 영어로 작성한 뒤에 빌드하니 해결되었다.
제목 그대로 Photon을 실행하면 마스터가 PhotonNetwork.Instantiate를 통해 서버에 생성하는 객체를 클라쪽에 동기화가 되지 않는 이슈가 있었다. 이게 골치아팠던 점이 확률적으로 정상일 때도 있고 위 이슈가 발생할 때도 있어서 원인을 찾기 어려웠다. 하지만 유심히 살펴보니 마스터의 씬이 먼저 로드되고 그 다음 클라이언트가 넘어가면 클라이언트에게 맵이 보이지 않았고, 반대로 클라이언트가 먼저 씬 로드를 마치면 나중에 씬이 넘어온 마스터의 객체들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같은씬에 없을 경우 먼저 들어온 클라이언트가 생성한 후에 다른 클라이언트가 들어오면 나중에 들어온 클라이언트는 먼저 들어온 클라이언트의 객체들을 동기화받지 못한다. 이를 활용하여 RPC로 클라이언트가 모두 씬전환을 마..
multiple precompiled assemblies with the same name Newtonsoft.Json.dll included or the current platform. Only one assembly with the same name is allowed per platform. 이전에 해결했던 nuget패키지의 NewtonJSON.dll에러를 해결했는데 다음과 같은 에러가 났다. 검색을 해보니 dotnet4버전이상을 사용하면서 dotnet3.5버전 패키지가 있어 JSON패키지가 여러번 컴파일된다는 에러라는데 그래서 JSON패키지에서 dotnet4이상을 지원하는 버전을 살려두고 dotnet3.5버전을 지원하는 Standalone의 Json을 삭제했더니 에러가 수정되었다. * 결론) 자신..
강사님과 함께 테스트하며 도출해낸 추측되는 원인들에 대해서 서술한다. 정확한 원인이 아닐 수 있음을 주의 이상하게도 확률적으로 Nox화면과 Unity Editor를 서로 같은방에서 실행시켜 인게임에 진입을 하면 Client쪽이 MasterClient의 객체들(PhotonNetwork.Instantitate를 시키더라도)을 볼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 여러번 실행시켜보면 Client에서 Client와 Master의 객체동기화가 이루어질 때도 있고 그러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이는 MonoBehaviourPunCallbacks가 Start에 의존되어 있어 발생하는 현상으로 보인다. => MonoBehaviourPunCallbacks의 기능들은 Start이후에 실행된다. 따라서 PhotonNetwork.I..
Multiple precompiled assemblies with the same name Newtonsoft.Json.dll included or the current platform. Only one assembly with the same name is allowed per platform JSON을 임포트 시키자 에러메시지로 다음과 같은에러가 났다. 찾아보니 Unity 2020.3.7 이상버전에서 나는 오류같다고 한다. 에러메시지는 Library/PackageCache/com.unity.nuget.newtonsoft-json@2.0.0-review/Runtime/Newtonsoft.Json.dll에서 발생했다고 한다. 그리고 해당 파일을 지우니 괜찮아졌다는 글이 있길래 나도 라이브러리에 들어가서 ..
App화면에서 Logo로 넘기고 코루틴으로 2초 기다린 뒤 Title로 넘겼는데, 이런 에러가 났다. 테스트를 해보니 App을 건너뛰고 Logo에서 시작하거나 Title에서 시작하면 저런 에러가 나지 않았다. 그래서 App의 문제인 줄 알고 스크립트를 보니 딱히 방해가 될만한 스크립트는 없었다. 그래도 DontDestroy에서 에러가 나니 App에서 DontDestroy를 해둔 App과 canvas를 모두 DontDestroy를 풀었다. 그래서 Logo씬에서 코루틴 문제일 듯 해서 스크립트를 고쳐보았다. 아무래도 Update에서 코루틴을 실행시킨것이 문제가 된 모양이다. 그래서 필요없는 코드는 모두 지워버리고 Start에서 Coroutine을 실행시켰다. 위와 같이 스크립트를 고친 뒤 실행시키니 정상작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