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loop
- c++
- 프로그래밍
- String
- 백준
- UE5
- Programming
- 파이썬
- Material
- W3Schools
- 오류
- Algorithm
- Class
- parameter
- github
- 기초
- 재귀
- python
- 시작해요 언리얼 2022
- dynamic
- Tutorial
- Unreal Engine 5
- C#
- 문제풀이
- DP
- Basic
- Unity
- guide
- w3school
- dfs
- Today
- Total
목록Algorithm (107)
행복한 개구리

n = int(input()) value = 1 difference = 6 count = 1 while n > value: count += 1 value += difference difference += 6 print(count) 벌집의 어떠한 값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해당 층(1은 1층 2~7은 2층 식으로 부르겠습니다.)의 최솟값과 최댓값에 도달하기 위한 칸수와 같으므로 최댓값보다 작은 값을 탐색함으로써 찾아볼 수 있겠습니다. 따라서 value변수에는 초깃값 1을 지정하며 동시에 몇칸을 진행해야 하는지 세기위한 count값을 생성합니다. 이어서 벌집의 수들은 계차수열입니다. 계차수열의 계차들은 등차수열의 형태를 띄며 공차는 6입니다. 따라서 cd(공차)라는 변수를 생성하여 공차값인 6을 저장해줍니다. ..

fixedCost, variableCost, productPrice = map(int, input().split()) income = productPrice - variableCost if income

n = int(input()) result = 0 for _ in range(n): word = input().lower() error = 0 for idx in range(len(word)-1): if word[idx] != word[idx+1]: leftPart = word[idx+1:] if leftPart.count(word[idx]) != 0: error += 1 if error == 0: result += 1 print(result) 우선 처음에 입력받은 수만큼 반복을 돌리는 구조로 진행합니다. 그리고 그룹단어의 개수를 저장할 result 변수를 미리 생성합니다. 처음에 입력받은 수만큼 단어를 입력받습니다. 여기서 error라는 변수를 설정해주는데 error변수는 그룹단어가 아닌 것을 찾아내기..

croaticAlphabet = ["c=", "c-", "dz=", "d-", "lj", "nj", "s=", "z="] input = input() for element in croaticAlphabet: input = input.replace(element, "*") print(len(input)) replace메서드는 문자열의 첫번째 매개변수와 일치하는 요소(element)를 두번째 매개변수(*)로 대체하는 메서드이다. 따라서 알파벳의 수만큼 *이 생성되며 반복문을 마쳐 *로 모두 대체된 input의 문자열 길이가 곧 크로아티아 알파벳의 갯수이다.

dial = ("ABC", "DEF", "GHI", "JKL", "MNO", "PQRS", "TUV", "WXYZ") number = input() time = 0 for i in number: for j in dial: if i in j: time += dial.index(j) + 3 print(time) 번호마다 할당받은 알파벳이 불규칙하게 3개 또는 4개씩 할당받았기 때문에 리스트로 이를 만들어준다. 다음으로는 다이얼을 걸 때 걸리는 시간인데 숫자 1을 걸 때 -> 숫자1까지 거는 시간 + 다이얼을 처음으로 돌리는 시간 = 2초이다. 따라서 "숫자만큼의 시간 + 1" 의 시간이 걸린다. => ex ) 9를 걸려면 9(다이얼을 돌리는 시간) + 1(처음으로 초기화시키는 시간) = 10이므로 10초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