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Algorithm
- Class
- parameter
- W3Schools
- C#
- 문제풀이
- String
- guide
- github
- c++
- 백준
- Material
- 파이썬
- Programming
- 오류
- 재귀
- UE5
- dfs
- Unity
- 기초
- 프로그래밍
- Tutorial
- loop
- dynamic
- w3school
- DP
- Basic
- python
- Unreal Engine 5
- 시작해요 언리얼 2022
- Today
- Total
목록Algorithm (107)
행복한 개구리

import math T = int(input()) for _ in range(T): x1, y1, r1, x2, y2, r2 = map(int, input().split()) dis = math.sqrt((x1 - x2) ** 2 + (y1 - y2) ** 2) if dis == 0 and r1 == r2: print(-1) elif abs(r1 - r2) == dis or r1 + r2 == dis: print(1) elif abs(r1 - r2) < dis < abs(r1 + r2): print(2) else: print(0) 조규현(R1)과 백승환(R2)에서 계산한 위치의 접점을 구하면 됩니다. 한 점에서 일정한 거리에 위치한 점들의 집합은 원이므로 조규현과 백승환의 계산한 거리는 원의 형태를 띕..

우선 알아야 할 유클리드 기하학과 맨해튼 거리(택시 기하학)의 정의입니다. 유클리드 기하학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유클리드 기하학(-幾何學, Euclidean geometry)은 고대 그리스의 수학자 에우클레이데스(유클리드)가 구축한 수학 체계로 《원론》은 기하학에 관한 최초의 체계적인 논의로 알려져 있다. 유클리드의 ko.wikipedia.org 맨해튼 거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맨해튼 거리(Manhattan distance, 혹은 택시 거리, L1 거리, 시가지 거리,Taxicab geometry)는 19세기의 수학자 헤르만 민코프스키가 고안한 용어로, 보통 유클리드 기하학의 거리 공간을 좌표에 표시된 두 ko.wikipedia.org 그리고 유클리드 기하학에서의 원은 우리..

import math while True: a, b, c = map(int, input().split()) numbers = [a, b, c] m = max(numbers) numbers.remove(m) if a == 0 and b == 0 and c == 0: break else: if math.pow(numbers[0], 2) + math.pow(numbers[1], 2) == math.pow(m, 2): print("right") else: print("wrong") 반복문안에 값을 받을 수 있도록 작성해줍니다. 0 0 0 을 입력받지 않았다면 코드가 진행되도록 조건문을 작성합니다. 직각삼각형임을 증명할 수 있는 식은 피타고라스 정리인 "빗변² = 밑변² + 대변²" 입니다. 또한 빗변의 길이는 ..

X = [] Y = [] for _ in range(3): x, y = map(int, input().split()) X.append(x) Y.append(y) for _ in range(3): if X.count(X[_]) % 2 == 1: x = X[_] if Y.count(Y[_]) % 2 == 1: y = Y[_] print(x, y) 직사각형의 좌표들은 x, y좌표들이 짝을 이룹니다. 그 중에서 3점의 좌표만 제공된다면 남은 한 점의 좌표는 짝이 없는 x, y의 좌표일 것입니다. 따라서 x와 y좌표를 받을 리스트를 미리 생성해두고 입력되는 3개의 좌표들의 x와 y값을 각각 X와 Y에 저장해줍니다. 그리고 다시 반복문을 실행해서 X와 Y에서 짝이 없는 요소를 찾아내어 출력해주면 됩니다.

x, y, w, h = map(int, input().split()) if x

def IsPrime(n): seive = [True] * n for i in range(2, int((n ** 0.5) + 1)): if seive[i] == True: for j in range(i + i, n, i): seive[j] = False return [i for i in range(2, n) if seive[i] == True] primeNumbers = IsPrime(10000) T = int(input()) for _ in range(T): n = int(input()) for i in range(int(n/2), 1, -1): if primeNumbers.count(i) != 0: if primeNumbers.count(n - i) != 0: print(i, n - i) break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