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github
- parameter
- 프로그래밍
- Class
- W3Schools
- dfs
- c++
- Basic
- 문제풀이
- String
- Unreal Engine 5
- loop
- Tutorial
- DP
- python
- Unity
- Material
- w3school
- 파이썬
- C#
- UE5
- 오류
- 백준
- dynamic
- guide
- Programming
- 기초
- 시작해요 언리얼 2022
- 재귀
- Algorithm
- Today
- Total
행복한 개구리
Unreal Engine 5 Tutoral - 시작해요 언리얼 2022 (4) 본문
Unreal Engine 5 Tutoral - 시작해요 언리얼 2022 (4)
HappyFrog 2023. 5. 31. 00:15시작해요 언리얼 2022 하이라이트 - YouTube
본 게시글은 'Unreal Engine KR 유튜브 채널의 시작해요 언리얼 2022 하이라이트'를 시청하며 연습한 것입니다.
1. Material
1) Albedo
이번에는 지난 게시글에서 다운로드까지 받았던 Quixel 에셋들의 Material을 수정해볼 것이다.
이전에 받았던 Quixel의 에셋들 또한 Static Mesh와 Material이 합쳐져 표현되는 형식이기 때문에 Actor에서 Material을 기본 Material로 변경한다면 오른쪽 사진과 같이 아무런 색이 지정되지 않은 그저 모델링 에셋일 뿐이다.
배치한 Actor를 선택하고 Details 패널에서 Material에 있는 머티리얼 아이콘을 더블클릭하면 위 사진과 같이 머티리얼 편집창이 나타난다.
Viewport와 Material Edit 창이 함께 보이게 배치한 뒤, 살펴보자.
Material 편집기에서 01 - Albedo > Albedo Controls를 체크하여 활성시키자.
그리고 그 하위의 Saturation을 변경하며 변화를 Viewport에서 실시간으로 확인해보자.
Saturation은 채도를 의미하는데, 이것이 0에 가까워질수록 흑백에 가까워진다.
그 아래의 Brightness는 밝기를 의미한다. 낮을수록 어둡고 높을수록 밝아진다.
Brightness 아래의 Contrast는 대비를 나타낸다.
이렇듯 머티리얼을 수정하는 것만으로도 같은 에셋이 다른 질감을 표현하도록 수정할 수 있다.
이어서 Albedo Tint를 보자면, Albedo Tint는 에셋의 색상을 나타낸다. 옆에있는 색상칸을 클릭하면 색상 편집기가 나타나고 세밀한 색상값 수정이 가능해진다.
2) Roughness
이번엔 04-Roughness를 살펴볼 것이다.
04 Roughness > Max Roughness의 값을 살짝 낮추고 에셋을 봐보자.
위 사진 기준으로 왼쪽 사진은 Max Roughness가 0.2, 오른쪽은 1이다. 왼쪽은 조금 물에 젖은 듯 돌이 반짝이는 질감을 띄게 됐고, 오른쪽은 마른 돌처럼 빛나는 질감이 없다.
이 Roughness는 말 그대로 거친 질감의 정도를 나타내는 영역이다. 따라서 값이 낮을수록 매끈해지기 때문에 Actor의 질감이 조금씩 반짝이는 듯한 느낌을 주게 된다.
영상에서는 Roughness를 조금 낮춰야 양각이 살아나고 빛을 받는 느낌이 살아나 예쁘다는 팁도 있었다. 물론 취향껏 조정하면 된다고 맺었다.
'Unreal Engine 5 > Tutorial Project: 시작해요 언리얼 2022' 카테고리의 다른 글
Unreal Engine 5 Tutorial - 시작해요 언리얼 2022 (5) (0) | 2023.05.31 |
---|---|
Unreal Engine 5 Tutorial - 시작해요 언리얼 2022 (3) (0) | 2023.05.23 |
Unreal Engine 5 Tutorial - 시작해요 언리얼 2022 (2) (0) | 2023.05.23 |
Unreal Engine 5 Tutorial - 시작해요 언리얼 2022 (1) (0) | 2023.05.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