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행복한 개구리

백준 21.12.11. 3053번 - 택시 기하학 본문

Algorithm/BaekJoon

백준 21.12.11. 3053번 - 택시 기하학

HappyFrog 2021. 12. 11. 16:34

우선 알아야 할 유클리드 기하학과 맨해튼 거리(택시 기하학)의 정의입니다.

 

 

유클리드 기하학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유클리드 기하학(-幾何學, Euclidean geometry)은 고대 그리스의 수학자 에우클레이데스(유클리드)가 구축한 수학 체계로 《원론》은 기하학에 관한 최초의 체계적인 논의로 알려져 있다. 유클리드의

ko.wikipedia.org

 

 

맨해튼 거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맨해튼 거리(Manhattan distance, 혹은 택시 거리, L1 거리, 시가지 거리,Taxicab geometry)는 19세기의 수학자 헤르만 민코프스키가 고안한 용어로, 보통 유클리드 기하학의 거리 공간을 좌표에 표시된 두

ko.wikipedia.org

 

그리고 유클리드 기하학에서의 원은 우리가 알고있는 둥근 모양의 원이지만 택시 기하학에서의 원은 정 마름모 형태입니다.

하지만 둘의 정의는 "한 점에서의 거리가 같은 점들의 집합"이므로 같습니다.

유클리드 기하학에서의 원(좌)과 택시 기하학에서의 원(우) // 택시 기하학 원의 반지름은 1입니다.

여기서 각 반지름이 r이라고 가정한다면 왼쪽 원의 넓이는 r²π 이며 오른쪽 원의 넓이는 2r²( = r² / 2 x 4)입니다.


import math

r = int(input())

print(round(math.pow(r, 2) * math.pi, 6))
print(math.pow(r, 2) * 2)
  • 제곱식을 사용하기 위해 math모듈을 임포트 해줍니다.
  • 그리고 유클리드 기하학과 택시 기하학에 따라 첫 번째, 두 번째 줄에 각각 출력해줍니다.
  • 그리고 π는 무한소수이므로 소숫점을 제한하는 메서드가 필요합니다.
  • 예제에서는 소숫점 6자리가 반올림된 모습을 보였기 때문에(π = 3.141592... 인데 3.141593으로 출력됨) 출력값에 round메서드를 사용하여 소숫점을 6자리까지 제한해줍니다.